top of page

작품 평론 : 송희정, <미로>, 2023

방치된 현실, 배회하는 유령

양초롱(미술사 박사, 미술비평)

송희정(조각, 설치)은 인간의 내면세계 혹은 무의식의 세계, 현실 밖(이외의) 세계, 태고적인 기질, 잠재의식 등과 같은 비가시적인 현상에 관심을 둔다. 다시 말해 그는 눈으로 명확히 보이지 않고, 말로써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그럼에도 우리의 삶에 강력히 작용하는 ‘어떤 것’을 이야기한다. 즉, 단순히 어떤 세계의 본질을 묘사하는 작업보다는 그 현상이 일상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혹은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탐구들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 그는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의 상호 얽힘이 이루어지는 표면으로서의 신체(몸, 살, 기관 등)를 매개로 여러 세계(안과 밖, 각각의 세계, 각각의 현실들)에 대한 경험과 내용을 형상화하고자 한다. 무의식의 원형, 사랑, 정신, 죽음, 태고적 기질에 대한 그의 관심은 현실-일상에서 그가 겪었던 사적인 경험과 교차되면서 현실 문제에 대한 해결 혹은 그에 대한 해방적 기획으로부터 비롯한다. 이러한 기획의 출발점으로서 나(몸)는 내적-외적 세계의 관계망이 드러나는 매 순간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는 주요한 장이며, 그 결과 ‘육지-바다’의 관계처럼, ‘현실-현실 외’의 대칭적 세계를 탐구하는 그의 작업들은 ‘명료하지 않은 것들’ 사이에서 부유하며 떠도는 ‘어떤’ 형태, 즉 비정형적 형상물들로 나타난다.

 

최성규(보물섬 대표)는 자원 수탈의 대상이었던 광물로 이루어진 ‘코발트블루’라는 가상의 산을 배경으로 한 디지털 전시 《코발트 블루에 새겨진 수많은 구멍과 유령들》(2023)을 기획했다. 그곳에서 수탈과 착취의 트라우마로 형성된 각각의 유령 같은 존재(손영득, 송희정, 윤동훈의 작품들)는 ‘코발트블루 산’의 수직-수평의 구멍들을 떠돈다. 이 가상의 산(배경)과 전시(작품들), 떠도는 유령 빛은 실제 경산시 코발트 광산의 역사적 사건을 모티프로 했다. 경산 코발트 광산은 일본인들이 코발트를 채굴하기 위해 경북 경산시 평산동에 개발했던 폐광이다. 1950년 한국 전쟁 직후, 광산의 수많은 수평-수직 갱도로 인해 군경에 의해 자행된 양민집단학살의 대표적 장소로 이용되었다. 대구, 경북지역의 보도연맹원과 대구 형무소 재소자 등이 폐코발트광산의 지하갱도와 인근 대원골에서 학살되었던 그곳은 오늘날까지 방치된 채 수많은 유골을 발굴하지 못하고 있다. 날씨, 개발, 괴담, 은폐, 방치 등으로 싸늘한 폐허로 존재하고 있는 그곳은 여전히 역사에 대한 시선의 회피로 ‘무관심적 학살’이 진행 중이다.

 

《코발트 블루에 새겨진 수많은 구멍과 유령들》이라는 디지털 가상 공간 속 유저(user, 이용자)는 빛을 따라 코발트블루의 동굴을 탐험할 수 있다. 동굴 속 ‘백색 유령’을 따라가면, 송희정 작품 <미로>(2023)가 있다. 온통 하얀색이다. 비어 있는 듯하지만 채워져 있는 ‘백색’은 많은 색을 담을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기에 여러 요소를 연결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백색 유령이 펼쳐놓은 조각들은 출구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끊임없이 서로 연결된 조각들은 단순히 평면적인 형태로 공간을 구축하지 않고, 마치 몸 내부의 신경계처럼 복잡한 관계망의 형태를 띠고 있다.

방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백색의 비유기적인 형상물의 질감(내피)은 끊임없이 우리를 미궁으로 빠져들게 한다. 자유롭게 구성된 길과 모양이 제각기 달라 헤맬 수밖에 없는 공간들은 그 위상이 같아 ‘위’에서 내려다 볼 경우, 그것은 미로의 형태이다. 유저가 미로에 진입하는 순간 음악이 나오며, 미로 속 길을 헤매는 동안 계속해서 기도문을 듣는다. 그리고 미로의 중심부에 공중부양하고 있는 하나의 ‘흰색-구축물’이 있다. 그곳에 도달하면 [티베트 사자의 서]의 중간계 안내문이 들려온다. 공중부양하고 있는 조각은 미로의 벽들을 한 축으로 몰아 만든 집합체이다. 송희정 작가가 명명한 ‘미로벽 집합체 조각’은 미로를 구성하는 벽면의 유기성으로 인해 촉감적으로는 살덩어리를, 형상적으로는 뼈를 연상케 하기도 한다. 하나하나의 조각들이 한 축으로 무작위적으로 집합되는 순간, 무작위로 쌓인 코발트 광산의 시체들 혹은 시간들, 그리고 이러한 특정한 집합을 가능케 하는 ‘그 이상의 어떤 무언가’를 드러낸다.

우리는 형상(미로벽 집합체 조각과 미로 조각)을 파악하는 순간에도 숨이 막힐 정도로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답답함 속에서 우리가 길을 잃어 헤맨 듯한 그 순간에 ‘어떤 빛’을 만나게 된다. 그 빛-세 가지 색, 동선을 유도하는 유저의 빛-은 빠른 속도로 미로를 돌아다닌다. 우리는 그 빛을 두려워하지 않고 대면해야 한다. 그때, 우리는 새로운 길을 발견할 수 있다.

 

미로의 중심부에 공중부양하고 있는 흰색-구축물, 즉 ‘미로벽 집합체 조각’에서 [티베트의 사자의 서]가 울려 퍼진다. [사자의 서]는 이집트(누 페레트 엄 헤루, 빛으로 나오기 위한 책)와 티베트(바르도 퇴돌, 중간계에서 듣고 이해함으로써 그 자리에서 해탈에 이르게 하는 책)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이집트 사자의 서]는 주문 또는 마술 공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장례용 경전으로, 죽은 사람을 내세에서 보호하고 돕는다고 믿어 무덤에 넣어주었다. [티베트 사자의 서]는 이 세계와 저 세계의 틈새, 즉, ‘중간 상태’(바르도, Bardo)에 머물러 있는 사자(死者)를 위한 안내서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인간이 그 상태에 머무는 약 49일 동안 6개의 빛이 나타나는데, 자신의 업보에 따라 한 빛에 강렬하게 이끌게 된다. 송희정은 자신이 밤마다 듣고 자는 [티베트의 사자의 서]를 재편집했다.

그러나 작가는 전체의 공간을 흰빛으로 전환하고, 각각의 방을 연결하여 미로의 형태로 재현했다. 그에게 ‘미로’는 각각의 일들을 맞이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보다, 풀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상황 속에도 인간의 해결(결국 열려 있는)이 가능할 수 있다는 상징적 요소로 작용한다. 송희정 작가가 [티베트 사자의 서]를 읊조리며 미로와 중간계의 형상을 메타포 하는 데는 단순히 망자의 혼을 달래고 추모하는 의도에만 있지 않다. 동시에 지금, 이 순간 미로를 돌아다니는 유저, 즉 현생의 나(우리)를 위한 것이다. 이로써 코발트 광산은 단순히 지나버린 과거의 흔적이 새겨져 있는 역사적 기념물이 아니게 된다. 여전히 눈과 귀를 막고 보지 않으려는 현재의 ‘나(우리)’로 하여금 ‘방치된 현실’에서 새로운 출구를 모색해야 함을 자각시키는 주문이자 호소인 것이다.

마치 꺼져 가는 등잔의 불꽃으로 다른 등잔에 불을 붙이는 것처럼, 하나의 삶에서 그다음 삶으로 이어지는, 명확한 주체를 알아 볼 수 없는 자들의 육신(뼈)만이 남아 있는 그곳. 백색의 비형상적 구축물, 미로는 환생을 위한 터미널과 같다. ‘환생’은 죽은 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영혼의 전향이 요구되는 오늘날 현생의 우리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제 이렇게 자문해 보자. 여전히 방치된 현실, 그러한 현실에서 떠도는 유령은 사자(死者)일까 혹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일까?

Artwork Review: Song Hee Jung, <Maze>, 2023

Abandoned Reality, Wandering Ghosts

By Yang Chorong (Ph.D. in Art History, Art Critic)

Song Hee Jung, known for her sculpture and installation works, is interested in phenomena that are not directly visible, such as the inner world or the unconscious world of humans, realms beyond reality, primordial tendencies, and the subconscious. In other words, she speaks of 'something' that, although not clearly visible to the eye or explicitly describable in words, powerfully affects our lives. Rather than simply portraying the essence of a particular world, Song focuses on how these phenomena manifest in daily life or influence it. To do this, Song uses the body––flesh, organs, etc.––as a medium, a surface where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intertwine, to represent experiences and narratives about various worlds––inside and outside, individual world, different realities. Her interest in the original form of the unconscious, love, spirit, death, and primordial tendencies intersects with personal experiences she has had in her everyday life, stemming from solutions to real problems or liberating initiatives of such problems. As a starting point for these initiatives, the body––self––is a crucial stage where the inner and outer worlds' networks are revealed and displayed differently every moment. As a result, her works that explore the symmetrical world of 'reality-beyond reality' like 'land-sea' relationship manifest as amorphous forms that float among the 'ambiguous.'

 

Choi Sung Gyu, the director of Bomulsum, curated a digital exhibition 《Countless Holes and Ghosts Engraved in Cobalt Blue》 (2023) set against a virtual mountain 'Cobalt Blue' made of minerals once exploited. In this space, ghostly entities––works by Son Young Deuk, Song Hee Jung, Yoon Dong Hoon––formed from traumas of exploitation wander arou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holes of the 'Cobalt Blue Mountain.' This virtual mountain, the background, and its artworks, as well as the wandering ghostly lights, draw motifs from a historical event at the Gyeongsan cobalt mine. This abandoned mine in Pyeongsan-dong, Gyeongsan-si, Gyeongbuk was developed by the Japanese for cobalt mining. Right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it became a notorious site for mass civilian massacre committed by the police and military due to its extensive horizontal and vertical tunnels. Civilians from Daegu and Gyeongbuk, including members of the Bodo League and inmates from Daegu Prison, were slaughtered in the mine's underground tunnels and nearby Daewon Valley. To this day, numerous remains remain unexcavated, and the place exists as a chilling ruin, with ongoing 'indifferent massacres' due to weather, development, urban legends, cover-ups, and neglect.

 

In the digital virtual space 《Countless Holes and Ghosts Engraved in Cobalt Blue》, users can explore the Cobalt Blue cave by following the light. Following the 'White Ghost' inside the cave, users find Song's artwork <Maze> (2023). It is entirely white. This 'white' that seems empty but is filled carries the potential to encompass many colors and therefore has the characteristic of connecting various elements. Thus, the sculptures unfolded by the white ghost are interconnected to the extent that users cannot find an exit. These continuously interconnected pieces do not simply construct space in a two-dimensional form, but rather, they resemble the complex network of the body's nervous system.

 

The white, non-figurative form that fills the room engulfs us in an endless maze with its texture, the inner skin. The freely constructed paths and unique shapes create spaces that can only be confusing, and when viewed from 'above,' they form a labyrinth. As users enter the maze, music plays, and as they wander through the maze, they continuously hear a prayer. And at the center of the maze, there is a 'white-structure' levitating. Upon reaching it, users can hear the guidance from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The levitating sculpture is an aggregate formed by pushing the walls of the maze toward a single axis. This 'maze-wall aggregate sculpture,' named by Song, evokes the sensation of flesh through the organic nature of the walls that form the maze and figuratively resembles bone. When each piece is randomly assembled on a single axis, it reveals a heap of randomly stacked dead bodies from the cobalt mine or time itself, and 'something beyond' that enables such a specific gathering.

 

Even when we grasp the figure––the maze-wall aggregate sculpture and maze sculpture––we can feel an overwhelming suffocation. In the midst of this suffocation, we encounter 'some light' in a moment reminiscent of being lost. This light––three colors, guiding the user's movement––rapidly travels throughout the maze. We must confront this light without fear. Then, we can discover a new path.

 

From the white 'maze-wall aggregate sculpture' levitating at the center of the maze,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resonates. Notably, the [Book of the Dead] from Egypt––Ru Pert em Heru, the book for emerging into the light––and Tibet––Bardo Thodol, a book that guides the deceased to reach nirvana by listening and understanding it in the intermediate state––are exemplary. Generally,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is composed of spells or magical formulas, a funeral scripture believed to protect and assist the deceased in the afterlife, and hence was placed in tombs.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serves as a guide for the deceased dwelling in the gap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bardo, the 'intermediate stat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uring the approximately forty-nine days one lingers in this state, six lights appear, and one is drawn strongly to a particular light depending on their past actions.

 

Song has re-edited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she listens to every night. However, she transforms the entire space into a white light and recreates it in the form of a maze by connecting each room. For Song, the 'maze' symbolizes not just spaces that confront various events but a symbolic element suggesting that even in seemingly insoluble situations, human resolution is possible, eventually finding an exit. Song's recitation of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and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the maze and intermediate state is not merely for consoling and commemorating the deceased. It is simultaneously for the user wandering the maze, that is, 'us' living the present moment. Thus, the cobalt mine is not merely a historical monument imprinted with traces of the past. It becomes an appeal and a spell to awaken 'us' right now, who still choose to turn a blind eye, to the need to seek a new exit from the 'neglected reality.'

 

Like igniting another lantern with the dying flame of one, in a place where only the physical remains––bones––of unidentifiable beings remain, carrying on from one life to the next, the white non-figurative structure, the maze, is akin to a terminal for reincarnation. 'Reincarnation' is not just for the deceased but also for us living today, who are required for the transition of soul. Now, let's ask ourselves: In the still-neglected reality, are the ghosts drifting in such reality the deceased or us now?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