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코발트블루에 새겨진 수많은 구멍과 유령들》 - 손영득 <푸른 유령>비평문

그림자 몸과 구멍

오정은(미술비평)

 

73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래도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막힌 폐광 안에, 그날의 총성에 쓰러졌던 몸이 산처럼 한 데 얽혀 쌓여있다. 누군가는 위에서 쏟아부은 토사에 갇혀있고 누군가는 지하 암반수에 전신이 수장되어 있다. 화염에 불타고 폭약에 동강난 몸도 많았다. 출구 앞까지 도망에 성공한 이도 있었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삐삐선에 굴비처럼 묶였던 살이, 총탄에 조각난 뼈가, 문드러지고 없어질 때까지 아무도 찾지 않았다.

 

찾을 수 없었으니까. 첫 번째 이유였다. 수십 미터, 그리고 백여 미터 수직 갱도를 비롯해 몇 개 수평 굴의 진입로도 막혔었다. 사건을 은폐한다며 그들이 콘크리트를 갖다 부어놓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보다 더 두꺼운 벽이었다. “빨갱이 자식하곤 어울리지 마라.” 가족과 친척까지 죄다 연결 지어 핍박한 연좌제가 그랬다. 거기에 찍히면 취업도 할 수 없었다. 하루아침에 혈육을 잃은 가족이 오명과 치욕 속에 살았다. 1960년 6월 결성됐던 유족회는 반국가단체라며 강제 해체되었고 몇몇은 실형까지 선고받았다. 사람들은 무력해졌고 함구령에 차츰 동조했다. 침묵에 또 한 번 묻힌 진실은 잊혀갔다. 세월이 흐르고, 공포 체험하겠다고 찾아오는 외지인이 피우는 이따금의 소란으로 이곳은 더 망가졌다.

 

그날이 있고 51년이 지났을 때, 처음으로 벽이 허물어졌다. 폭파된 입구 너머 반기는 것은 어둠 속에 번지는 차갑고 습한 기운과 무더기 백골이었다. 생지옥이 스치고 간 잔혹한 광경을 당시 언론이 보도했다. 그로부터 다시 6년 뒤, 과거사정리위원회 주도의 발굴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수백여 구 유해가 조각 단위로 나왔다. 2008년, 정부가 학살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그런데 정권이 바뀌자 발굴 사업은 도로 중단됐다. 찾았던 유해는 컨테이너에 방치됐다가, 사유지 관할에 들어갔다가 얼마쯤 허망하게 소실되었다. 지원이 끊겨 아무도 찾지 않았고, 갈수록 굴의 진입이 어려워서도 더 찾을 수 없었다. 유가족이 세운 위령탑은 때때로 심하게 훼손된 채 발견되곤 하였다.

 

출입이 통제됐던 거기에 필요한 일이 재개된 건 2023년 올해다. 3월부터 7월 간 1천여 점의 유해 조각을 마대자루 속 흙더미에서 찾았다. 어두운 폐광 속에 여전히 묻혀 잠들어 있는 원혼이 많지만, 지원 예산 등의 한계로 일단은 거기까지였다. 찾아도 신원을 알 수 없고, 신원을 알아도 찾아가는 유족이 없는 경우도 많았다. 댐이 되고, 골프장이 된 지반 아래에 파묻힌 몸은 어쩌면 영원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할 것 같다.

   

유령

 

억울한 원혼이 아직 여기 있다. 국가가 자국의 민간인을 집단학살한 반인륜적 사건의 피해자 영혼이. 경인년 1950년 7월부터 9월, 경북 경산 평산동 코발트광산에 묻힌 이들이다. 숫자로는 3천여 명에 달하는 이들은 전국적으로 10만에서 120만 명에 달하는 보도연맹 학살의 수치에 더해지는 비극이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땅에 처절한 비명이, 참혹한 잔상이, 치유되지 못한 미완의 과제가 잔존해 있다.

 

그를 아는 하나의 반응이었을까. 경산 지역에서 2016년 문을 연 미술중심공간 보물섬(대표 최성규)은 지역의 소실된 기록을 해집고 번안하는 활동을 수행해왔다. 이에 대표적 예술실천이 2021년 전시 《경안로 프로젝트》, 교육 《코발트&블루》, 2022년부터 연례로 하고 있는 《아카이브 오브 스피리츠》, 그리고 올해 기획한 《코발트블루에 새겨진 수많은 구멍과 유령들》이라 할 수 있다. 이들 중 《코발트블루에 새겨진 수많은 구멍과 유령들》은 가상환경 속 코발트광산을 배경으로 3명의 시각예술작가(손영득, 송희정, 윤동훈)를 초대해 장소특정적 작업을 경유한다. 개발된 온라인 플랫폼 속 코발트광산은 ‘푸른 유령’(손영득), ‘흰색 유령’(송희정), ‘회색 유령’(윤동훈)으로 분류된 각각의 경로로 접속해 들어가며, 그중 손영득은 애니메이션 그림자극을 상영하기로 했다. 손영득은 미디어아티스트, 독립애니메이션 감독이다.

 

‘푸른 유령’으로 명명된 플랫폼 속 코발트광산은 애니메이션 상영을 위한 가상의 블랙큐브 기능을 하는 동시에 실제 장소-코발트광산-의 장소성과 즉물감을 어렴풋 표현하고 있다. 암흑 속 낮은 천장에 폐쇄되어 답답한 탄광의 이미지 구현이 일단 그렇고, 생명성이라곤 하나 없는 대신 사방으로 흩어져 있는 낡은 고무신 같은 오브제가 망자의 존재를 떠올리게 하여서도 그렇다. 참사에 관한 한 더욱 배가되는 재현의 곤란 내지 불가능성의 문제는 여기서도 상기되는데, 손영득은 설명적 묘사 대신 상징적인 기호로 그를 풀어냈다. 바닥에 두 짝 가지런히, 그러나 빠져나갈 출구의 방향성은 없이 산발적으로 놓여있는 수십 켤레 신발을 통해서 말이다.

 

인기척도 없고 탄광 바닥의 주인 없는 고무신만 가득한 장소에서 감상자는 오로지 시점의 선회, 즉 모니터의 움직임만 갖고 주변을 탐색한다. 마우스와 키보드 w, a, s, d 조작으로 변화하는 1인칭 화면에는 어떤 신체적 이미지도 출몰해 보이지 않는다. 고로 그것은 몸이 없는 유령이다. 투명한 유령의 몸이 되어 검은 탄광 안을 빙글빙글 떠돌 뿐이다. 그런데 더 이상 진전해 나아갈 수 없는 어느 한 쪽 지점의 끝에는 군화와 방탄모가 있고, 그 앞에는 폭약 파편 같은 게 박힌 돌이 있고, 그 옆에는 그릇이 올라간 소박한 상이 놓여있다. 이 어울리지 않는 사물의 배치는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한편, 상징계의 이곳 특성을 역력히 하는 장치가 된다. 실제 코발트광산의 출입은 엄격하게 제한되어 평소 외부인이 드나들 수 없고 참상의 참혹한 잔여물만 남은 곳이다. 반면 ‘푸른 유령’ 속 코발트광산은 실존하지 않는 세계이자 영적 공간이다. 온라인을 경유해 물리력을 소거한 상태로 산자의 접근과 탐사가 가능하다.

 

한편, 이 기묘한 암굴의 공간에서 손영득의 그림자극은 두 개의 촛불 사이 중력 없이 떠있는 티켓을 마우스로 클릭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적막을 깨우는 내레이션과 함께 상영되는 ‘울명고개 이야기’. 이는 경산 지역에 전해져 내려오는 설화로서, 임진왜란으로 남편을 전장에 보내고 홀로 삼남매를 돌보던 여인의 이야기다. 왜군이 진격에 들어오자 여인은 어쩔 수 없이 피란을 떠나는데, 자식 한 명은 품에 안고 다른 한 명은 등에 업고 딸 하나는 손을 잡고 뛰었다. 그런데 울명고개에서 딸의 발이 땅속 무엇에 걸려 넘어졌고, 다급한 어미는 딸이 쥐고 놓지 않는 자신의 치마를 벗어버리고 가버렸다. 딸은 울다울다 죽어 울명고개의 전설이 됐다. 그 후로 초행과 신행가마는 그 고개를 넘어 다니지 않았다고 한다.

 

‘울명고개 이야기’가 상영되는 (PC)모니터 속 (가상)무대 양옆에는 두 장의 현수막이 붙어있다. 하나는 신파적인 문구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모녀의 애틋 아! 어쩌랴 이 비극을’, 다른 하나에는 ‘울명고개 이야기 장소: 경산면 1950년 6월 15일’이라는 텍스트가 적혀있다. 손영득 작가는 경산의 마을 사람들이 탄광에 모여 공연을 보는 가상의 설정을 생각했고, 양민 학살이 일어나기 전의 특정 날짜를 의도적으로 표기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푸른 유령’의 시공간은 한차례 더 복잡화된다. 작가가 의도한 이런 배치와 교란은 극(劇)을 통한 비유적 연출이기도 하지만, 시간을 역행해 평화를 가져오고픈 주술적 기대를 포괄한 것으로도 보인다.

 

“온라인 가상공간에 그림자 연극을 위한 극장을 만든다. 코발트 광산 동굴에 파묻힌 억울한 죽음과 유족들의 한이 평화로워지기를 기대한다. 어둠 속에서 상영되는 그림자 연극은 인류가 어둠이라는 무서움 속에서 본 한줄기 빛과 같은 것이다. 어둠이 두렵지만 그것을 즐기고 희로애락(喜怒哀樂)으로 인간사회를 표현하고 그 속에서 정신을 만들어 왔다.” -손영득 작가노트, 2023-

  

구멍

 

‘푸른 유령’ 속 공간에는 몸이 있는 것이 없다. 전술했듯, 누군가 벗어놓은 고무신과 그 밖의 육화된 이미지 없이 이동하는 시야만 있을 뿐이다. 거기서 상영되는 손영득의 애니메이션 ‘울명고개 이야기’의 몸도 폐광 속 질량 없는 그림자일 뿐이다. 그들 그림자 몸은 버림받았다. 여식의 몸은 의지했던 어미에게, 양민의 몸은 믿었던 국가에게. 그렇게 수습되지 못한 몸은 이 땅에 서린 통한의 비체(卑體, abject)가 됐다.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표현대로, 주체가 자신의 정체성과 동질성을 형성하기 위해 스스로에게서 배제하고 추방한 자신의 일부다. 이들은 두 번 죽는다. 좌우 이념으로 갈라 무고한 희생자로 지목된 생전의 가해가 한 번, 국가주의의 확립이란 미명 하에 당한 사후의 지우기가 한 번.

 

한때 코발트광산이 기피와 혐오의 오역을 겪고 귀신 출몰지로 전락했었듯, 원혼이 서린 땅은 그 또한 비체의 형질을 하고 있다. 수탈이 마구 훑고 가 자연의 성장도 멈춰버린 광산이 오명으로 부패되는 몸을 구멍 속에서 품어낸 결과다. 국가는 그곳 또한 철저히 버렸었다. 출입을 금지하고 매립해 암매장해버렸다. 어떤 이야기도 새어나가지 못하게.

 

《코발트블루에 새겨진 수많은 구멍과 유령들》은 코발트광산에 스민 질곡과 심연의 존재를 응시한다. 더 이상 안으로 진입해가지 못한 구멍 속을 상징적으로나마 재현해 파고들어간다. 거기에서 이야기를 발굴하고 청취한다. 그들 전해진 음성이 말한다. 전쟁과 폭력은 ‘울명고개 이야기’와 코발트광산 학살처럼 약자의 삶을 초토화시켰다고. 한 맺힌 넋을 그렇게 암굴에 남겨두고 우리는 근현대사의 질곡을 경제성장의 희열로 덮으며 통과했다고. 죄 없이 몸을 잃었던 유령은 우리가 빛을 비춰 보여야, 비로소 그림자극의 형체로나마 이야기를 들려줄 거다. 거기에 우리가 정말 잊지 말아야 할 사실, 왜곡되지 않은 진실이 존재할 것을 우리는 안다. 파헤쳐 발굴할 구멍은 수없이 많다.

 

희생자 위령의 목적에 더해 바로 된 역사 인식을 대중과 공유하는 《코발트블루에 새겨진 수많은 구멍과 유령들》은 같은 목적으로 익숙하게 제작됐던 기념비나 다큐멘터리 아카이브가 아니다. 온라인 가상환경을 주매체로 사고 장소특정성의 배경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게임 환경의 면모를 띤다. 재현 강박의 문제에 사로잡히거나 현실의 무게를 방관할 우려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것이다. 어려운 시도지만, 새로운 시대 언어에 맞춰 진일보한 한편, 예술의 실천성에 관한 저울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한 방도로서 이번 프로젝트의 유의미한 위치가 있을 거라 생각해 본다.

 

한편, 플랫폼 ‘푸른 유령’ 접속 중에, 들어왔던 입구 쪽에서 뒤로 후진을 거듭하면 어느 순간 저 아래로 추락하고 만다. 미완의 개발자 영역을 넘어선 것인지, 렉(lag)에 걸린 것처럼 정지할 수 없이, 탄광은 점차 작아지고 끝없이 검은 화면으로 잠식해 들어가게 된다. 나는 어둡고 깊은 구멍으로 무력하게 수직하강하는 신체를 간접 경험했다. 확인해 보니, 프로그램 개발 중 오류로 생기는 현상이라고 했다. 수직암굴로 떨어져 죽은 코발트광산의 원혼이 겹쳐져 감각된 것은 비단 우연일까.

 

코발트광산에 대한 가장 최근의 뉴스 기사는, 민간인희생자유족회가 사비를 모아 코발트광산 위령탑 뒤에 배롱나무를 심었다고 전하고 있다. 찾지 못한 유해, 모시지 못한 위패를 대신해 80그루 나무를 식재했다고 말이다. 나는 그 나무가 자라 잎과 가지로 모은 햇빛과 양분을 자기 몸의 뿌리 아래로 아래로 전달하는 광경을 상상한다. 그러다 더 아래 어딘가의 구멍에 닿을 모습도 그려본다. 73년의 시간, 늦었지만 이제라도 그렇게라도 애도를 표할 수 있다면 하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전히, 책무와 사명감으로 이어가는 현실의 속도가 더딘 것도 자각한다. 불과 몇 년 전, 손영득 작가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명단에 이름이 올라 정부로부터 검열을 받기도 했었다. 그로부터 얼마나 벗어나 있는 현재라 할 수 있나. 우리는 어떤 그림자를 역사로부터, 진실로부터 지우고 있는가. 그림자 몸을 구멍에 밀어 넣은 채.●

《Countless Holes and Ghosts Engraved in Cobalt Blue》

- Son Young Deuk's <Blue Ghost> Review

Shadows, Bodies, and Holes

By Oh Jung Eun (Art Critic)

Bodies

 

Seventy-three years have passed, and still, they haven't found their way back home. Inside the abandoned mine, the bodies that fell to gunfire that day lie in piles like mountains. Some were trapped under the soil that rained down from above, while others rest submerged in the underground waters. Many met their end in the flames or the explosive blasts. A few managed to escape to the exit, but that was as far as they got. Their flesh bound like dried fish by the military field wire and their bones shattered under the relentless hail of bullets––nobody sought them out until they had all vanished into the annals of time.

 

The first reason was that the bodies couldn't be found. The numerous horizontal tunnels, along with the vertical mineshafts that stretched for tens to over a hundred meters, were all blocked off with concrete to conceal the incident. The second reason was an even thicker wall: a social stigma that said, 'Don't associate with those commies.' This guilt-by-association system persecuted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their families and relatives. If someone was labeled, they couldn't find employment, and families who lost their loved ones overnight lived in disgrace, enduring false accusations. The association of families, formed in June 1960 to remember those who died in this incident, was forcibly disbanded, with its members labeled as anti-state, and some even received prison sentences. People felt powerless and gradually became compliant. The truth, buried once again in silence, faded from memory. As time passed, the place deteriorated further due to occasional disturbances caused by outsiders seeking a 'horror experience.'

 

Fifty-one years had passed since that day when the walls of silence first began to crumble. Beyond the blasted entrance, an eerie, cold, and damp darkness greeted those who entered, revealing piles of skeletons. The media of that time reported the gruesome scenes of the living hell that had unfolded there. Six years later, a comprehensive excavation project led by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commenced, unearthing hundreds of fragmented remains. In 2008, the government finally acknowledged the massacre and issued an official apology. However, with a change in government leadership, the excavation efforts ground to a halt once more. The remains that had been discovered were neglected in containers, then fell into private ownership, and eventually vanished in despair. The absence of support meant that no one was actively searching for them, and the increasing difficulty of accessing the mines made any attempts to locate them all the more challenging. The memorial set up by the grieving families was often found severely damaged.

 

It wasn't until this year, 2023, that the essential work finally resumed at the once-restricted site. Between March and July, more than a thousand fragments of remains were found from the dirt mounds inside the coal sacks. Many souls remain buried in the dark mines, but due to budget constraints, this marked the extent of the efforts for now. Even when remains were discovered, their identities were often unknown. And in cases where identities were known, there were instances where no family members came forward. The bodies buried beneath the grounds that have since been transformed into dams and golf courses might never be able to return home.

 

 

Ghosts

 

The resentful spirit is still here—the souls of the victims of a heinous incident where the state perpetrated mass murder against its own civilians. These were the individuals buried in the cobalt mine between July and September 1950 in Pyeongsan-dong, Gyeongsan, Gyeongbuk. Their numbers, around three thousand strong, are part of the staggering toll of the Bodo League massacre, which claimed between a hundred thousand to twelve million lives nationwide. The echoes of their anguished screams, the enduring horrors of the aftermath, and the unresolved issues remain on the very ground we live on.

 

Was it a response to this tragedy? Bomulsum, a creative art space rooted in Gyeongsan and established in 2016 under the guidance of Choi Sung Gyu, has dedicated itself to collecting and reflecting upon the forgotten records of the region. Notable artistic practices in this regard include the 2021 exhibition 《Gyeongan-ro Project》, the educational program 《Cobalt & Blue》, the annual 《Archive of Spirits》 starting from 2022, and this year's 《Countless Holes and Ghosts Engraved in Cobalt Blue》.

 

Among these, 《Countless Holes and Ghosts Engraved in Cobalt Blue》 invites three visual artists––Son Young Deuk, Song Hee Jung, Yoon Dong Hoon––for a site-specific work set against a virtual cobalt mine. An online platform designed for this cobalt mine allows access through distinct paths labeled as <Blue Ghost> (by Son Young Deuk), <White Ghost> (by Song Hee Jung), and <Gray Ghost> (by Yoon Dong Hoon). Of these, Son Young Deuk has chosen to showcase an animated shadow play, a fitting choice as a media artist and independent animation director himself.

 

A virtual cobalt mine within the <Blue Ghost> platform serves as a digital black cube for animation screenings, subtly capturing the essence and realism of the actual mine. It evokes the suffocating atmosphere of the low-ceilinged, dark tunnels, reminding viewers of the presence of the deceased through the portrayal of old rubber shoes scattered about, void of vitality. This work also acknowledges the challenge, and perhaps impossibility, of directly representing the tragedy. Instead of employing descriptive depictions, Son opts for symbolic signs, as evident in the dozens of pairs of shoes placed neatly on the floor, yet scattered without any direction of an exit.

 

In a place devoid of human presence, where the only inhabitants are abandoned rubber shoes strewn across the floor of a coal mine, the viewer explores the surroundings solely through the shift in perspective—the movement of the monitor. In this first-person view, no physical image appears while the scene changes with the manipulation of the mouse and the keyboard's w, a, s, and d keys. It's an experience akin to being a bodiless ghost. As this transparent apparition, the viewer aimlessly roams the depths of the dark coal mine. However, there comes a point in this virtual journey where progress is halted. Here, an unexpected sight awaits: military boots, a bulletproof helmet, and a stone seemingly embedded with fragments of explosives. Nearby, a simple table is set with a bowl on top. This juxtaposition of objects not only heightens the sense of tension but also emphatically signifies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his place. In reality, the entrance to the cobalt mine remains tightly restricted, usually inaccessible to outsiders, leaving behind only the gruesome remnants of tragedies. Yet, the cobalt mine in <Blue Ghost> emerges as a realm of non-existence, a spiritual space where the living can embark on a journey of exploration, transcending the confines of the physical world through the means of online access.

 

Meanwhile, Son's shadow play begins as the viewer clicks on a ticket that floats weightlessly between two candles in this bizarre cave. Accompanied by a narration that breaks the silence, the tale of 'The Legend of Ulmyeong Ridge' unfolds. This is a folklore passed down in the Gyeongsan region, recounting the story of a woman who, during the Imjin War, sent her husband off to battle and was left to care for their three children alone. As the Japanese army advanced, she had no choice but to flee, carrying one child, holding another on her back, and her daughter's hand in hers. However, at Ulmyeong Ridge, the daughter tripped over something underground and the desperate mother left her daughter behind, taking off the skirt her daughter clung to. The daughter cried until her last breath, thus becoming the Legend of Ulmyeong Ridge. Since then, it is said that first-time travelers and honeymooning palanquins would avoid crossing that ridge.

 

During the screening of 'The Legend of Ulmyeong Ridge' on the computer monitor within the virtual stage, two banners adorn either side. One reads a melodramatic phrase, "A heartbreaking tale of a mother and daughter that cannot be watched without tears! How can such a tragedy be?" and the other states, "The Legend of Ulmyeong Ridge Location: Gyeongsan-myeon, June 15, 1950." Son imagined a setting where the villagers of Gyeongsan gathered in a coal mine to watch this performance and intentionally marked a specific date before the massacre of innocent villagers. This further complicates the time and space of the <Blue Ghost>. The artist's calculated arrangements and disruptions not only serve as a metaphorical representation through a play but also appear to encompass a shamanic hope of bringing peace by traveling back in time.

 

"In creating a theater for shadow play within the virtual realm, I aspire for the unjustly departed souls entombed within the cobalt mine and the grievances of the bereaved to finally find solace. The shadow play projected in the darkness serves as a glimmer of hope, much like the light humanity finds amid the most daunting of shadows. While darkness may instill fear, humanity has enjoyed it, expressed society through joys and sorrows, and nurtured its spirit within its depths." ––Artist Statement by Son Young Deuk, 2023––

 

 

Holes

 

In the <Blue Ghost> space, there are no physical bodies. As mentioned earlier, only abandoned rubber shoes and a bodilessly moving perspective exist. The figures in Son's animated work, 'The Legend of Ulmyeong Ridge,' screened there, are also weightless shadows in the abandoned mine. These shadowy forms have been forsaken––the daughter's body was abandoned by the mother she relied on, and the bodies of the civilians were discarded by the state they once trusted. As a result, these unretrieved bodies have become the 'abject,' lingering on this land. In the words of Julia Kristeva, they are parts of oneself that have been expelled and exiled by the self to form one's own identity and homogeneity. They die twice: once by being unjustly targeted during their lifetime due to ideological divisions, and once more by being posthumously erased in the name of nationalism.

 

Like the cobalt mine, which became a subject of aversion and contempt and was degraded into a haunted place, the land filled with vengeful spirits also embody this abject quality. This is because the mine, also having its natural growth abruptly halted after ruthless exploitation, incubated its body, rotting with dishonor, within its holes. The state has entirely abandoned this place too, prohibiting access and burying it in darkness to ensure that no stories would leak.

 

《Countless Holes and Ghosts Engraved in Cobalt Blue》 gazes into the pain and abyss that permeates the cobalt mine. It symbolically delves into the inaccessible holes to unearth and listen to the story. The voices they convey tell us that wars and violence shattered the lives of the vulnerable, as seen in 'The Legend of Ulmyeong Ridge' and the cobalt mine massacre, and that we moved beyond the pain of modern history, overshadowing the souls bearing deep-rooted grievances in the dark cave with the joys of economic growth. The ghosts, unjustly detached from their bodies, will share their stories, at least in the form of shadow play, when we shine a light on them. We understand that the unaltered truth we must never forget resides there, in countless holes waiting to be explored.

 

In addition to comforting the souls of the victims, 《Countless Holes and Ghosts Engraved in Cobalt Blue》 provides the public with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history. But it is different from familiar monuments or documentary archives created for the same purpose because it utilizes an online virtual environment as its primary medium and incorporates site-specificity as a backdrop, lending it certain characteristics of a gaming environment. It is conceivable that this approach could become preoccupied with representation or remain somewhat detached from the weight of reality. While it presents a challenging endeavor, I believe this project occupies a meaningful position as a way to find balance in art practice, tailored to the language of the new era.

 

Meanwhile, when accessing the <Blue Ghost> platform, if the viewer retreats toward the entrance they initially came from, they may suddenly find themselves descending into the depths. Whether this is an area beyond the developer's intended scope or simply a lag, the viewer can't stop their plummeting, and the mine shrinks away, consumed by an endless black screen. I indirectly experienced the sensation of plunging helplessly into a dark, profound abyss. Later, I was informed that this phenomenon occurred due to a development error. Is it purely coincidental that this sensation mirrored the fate of the cobalt mine souls who died in vertical tunnels?

 

The most recent news report about the cobalt mine mentioned that the Association for Civilian Victims had collected private funds to plant crepe myrtle trees behind the cobalt mine memorial tower. They planted eighty trees as a symbolic gesture to commemorate the unidentified remains and the unattended spirit tablets. I envision these trees growing, channeling the sunlight and nutrients they gather through their leaves and branches, sending them down to their roots, and even deeper. I imagine them eventually reaching the hidden holes beneath. Though it is seventy-three years overdue, expressing our grief in this manner may still hold value. However, I'm also acutely aware of the slow pace of reality, driven by duty and a sense of mission. Just a few years ago, Son found himself on the Blacklist of Cultural Figures and Artists, subjected to government censorship. How far have we truly come since then? What shadows of history and truth are we still erasing, pushing those shadowy bodies into the holes?

bottom of page